창의적인 예술활동으로 시대적 패러다임을 담는 곳!

디자인 미술학과

전공과목해설

과목코드 과목명 내용
BDG6001 시각디자인(1)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Designs

시각디자인의 본질에서 정의, 의미개념을 확립하고 역사적 변천 및 그 분야의 사례연구에 의한 디자인 평가를 통한 디자인 의사결정에 접근하는 연구방법을 익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fined by the nature of the visual design, meaning, and establish the concept of historical transition, and the field due to the case study design, the design decisions through evaluation research methods to access its purpose is to immerse yourself.

BDG6002 시각디자인(2)

Visual Communication Design Ⅱ

미적감수성을 기반으로 하여 시각디자인 문제에 대해 창조적 수단으로 이론과 실제를 합일시키는 접근방법 연구

Aesthetic sensibility and visual design issues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unity as a means of creative approaches to research

BDG6003 시각디자인(3)

Visual Communication Design Ⅲ

시각디자인의 본질, 정의, 의미, 개념을 확립하고 사례연구를 통한 디자인평가 방법을 폭넓게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The essence of the visual design, definition, meaning and establish the concept and design through a case study aims to study a wide range of assessment methods shall have.

BDG6004 시각디자인(4)

Visual Communication Design Ⅳ

시각디자인의 본질, 정의, 의미, 개념을 확립하고 사례연구를 통한 디자인평가 방법을 폭넓게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The essence of the visual design, definition, meaning and establish the concept and design through a case study aims to study a wide range of assessment methods shall have.

BDG6006 디자인문화론

Theory of Design Culture

디자인 관련 이론 및 사례를 사회, 기술, 문화 등 시대환경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이와 함께 산업화 이전에 추구하던 전통적인 개념과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폭 넓은 디자인의 개념 및 전개방향을 정립하도록 한다.

Design theory and practices related to social, technological, cultural-environmental context of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the discussion and prior to pursuing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methods through discussion and deploy a wide range of design concepts is to establish direction.

BDG6007 디지털그래피

Desital Graphy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환경이 급격히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디지털그래피의 기술적인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디지털그래피를 구성하고 있는 기술적요소가 정보전달과정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연구한다.

Visual communication in the environment is rapidly becoming digitized Digital Photography at the time to understand the technical mechanism, Digital Photography and the technical elements that make up the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we will study the correlation in the effect.

BUA6001-01 불교미술(1)

Buddhist Art Ⅰ

불교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심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미술에 대한 재능과 인내로서 불교회화의 전통을 연마하며, 시대적 역사의식을 인식하여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art and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and talent for art and perseverance as a practicing Buddhist tradition of painting, and contemporary historical consciousness to recognize the creative abilities should be able to exercise.

BUA6002-01 불교미술(2)

Buddhist Art Ⅱ

불교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심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미술에 대한 재능과 인내로서 불교회화의 전통을 연마하며, 시대적 역사의식을 인식하여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art and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and talent for art and perseverance as a practicing Buddhist tradition of painting, and contemporary historical consciousness to recognize the creative abilities should be able to exercise.

BUA6003 불교미술(3)

Buddhist Art Ⅲ

불교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심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미술에 대한 재능과 인내로서 불교회화의 전통을 연마하며, 시대적 역사의식을 인식하여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art and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and talent for art and perseverance as a practicing Buddhist tradition of painting, and contemporary historical consciousness to recognize the creative abilities should be able to exercise.

BUA6004 불교미술(4)

Buddhist Art Ⅳ

불교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심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미술에 대한 재능과 인내로서 불교회화의 전통을 연마하며, 시대적 역사의식을 인식하여 창조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art and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and talent for art and perseverance as a practicing Buddhist tradition of painting, and contemporary historical consciousness to recognize the creative abilities should be able to exercise.

BUA6005 불교미술작품연구

Buddhist Art Research

불교회화의 전통에 대한 이해와 실습을 통하여 전래된 문화재의 수복 및 재현을 실현함과 동시에 현재와 미래를 위한 새로운 역사의식을 통한 창작불화를 연구한다.

Buddhist painting in the tradition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rough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cultural descended realize that while the present and future through the creation of a new historical consciousness is fluoride research.

BUA6006 불교미술사연구

Buddhist History Research

인류가 남긴 최고걸작의 유산이자 종교미술의 극치라고 평가되는 불교미술을 조각, 회화, 건축, 공예 등 분야로 나누어 형식이나 내용, 의미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그 아름다움을 학습한다.

Left up to the legacy of humanity and religious art masterpieces that are evaluated as the culmination of Buddhist art sculpture, painting, architecture, craft is divided into areas such as the type and content, meaning and the beauty of learning theory are discussed.

PAI6001-01 회화(1)

Painting (1)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을 수업의 기본으로 한다. 특히, 시대적인 작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국제적인 작가가 되기 위한 틀을 만들어 나나가는데 역점을 둔다. 또한 졸업 후 폭넒은 강의를 할 수 있도록 미술사, 철학 등을 접목시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Based on theoretical work is completed, the process is the basis for lessons. In particular, the era of what works to identify and create an international framework for becoming a writer was Nana's focuses. Pokneomeun to do after graduation, teaching art history, philosophy, and by combining to go to class.

PAI6002-01 회화(2)

Painting (2)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을 수업의 기본으로 한다. 특히, 시대적인 작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국제적인 작가가 되기 위한 틀을 만들어 나나가는데 역점을 둔다. 또한 졸업 후 폭넒은 강의를 할 수 있도록 미술사, 철학 등을 접목시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Based on theoretical work is completed, the process is the basis for lessons. In particular, the era of what works to identify and create an international framework for becoming a writer was Nana's focuses. Pokneomeun to do after graduation, teaching art history, philosophy, and by combining to go to class.

PAI6003-01 회화(3)

Painting (3)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을 수업의 기본으로 한다. 특히, 시대적인 작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국제적인 작가가 되기 위한 틀을 만들어 나나가는데 역점을 둔다. 또한 졸업 후 폭넒은 강의를 할 수 있도록 미술사, 철학 등을 접목시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Based on theoretical work is completed, the process is the basis for lessons. In particular, the era of what works to identify and create an international framework for becoming a writer was Nana's focuses. Pokneomeun to do after graduation, teaching art history, philosophy, and by combining to go to class.

PAI6004-01 회화(4)

Painting (4)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을 수업의 기본으로 한다. 특히, 시대적인 작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국제적인 작가가 되기 위한 틀을 만들어 나나가는데 역점을 둔다. 또한 졸업 후 폭넒은 강의를 할 수 있도록 미술사, 철학 등을 접목시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Based on theoretical work is completed, the process is the basis for lessons. In particular, the era of what works to identify and create an international framework for becoming a writer was Nana's focuses. Pokneomeun to do after graduation, teaching art history, philosophy, and by combining to go to class.

PAI6008-02 조형예술론

theory of form & function in architecture

현대미술의 조형에 관한 본질적인 면모를 천착한다. 예술작품을 논하는데 자주 언급되는 미학, 미술사의 주요개념의 이론적 측면을 이해하며 실제로 작업에 임하는 작가의 작가의식을 구현하는데 새로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학습한다.

About the nature of contemporary art to the realm of Art and Design is cheonchak. Works of art that is often mentioned nonhaneunde aesthetics, art history to understand the key concepts of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writer's writer actually conscious action to handle this job to implement new learning to be able to help.

PAI6009-02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모더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객관적인 성찰을 고찰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몇 개의 범주로 나누어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적 이해에 접근하고자 한다.

To understand postmodernism and modernism for the systematic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gochal introspection, and a variety of post-modernism being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access to basic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m is.

SCU6010 조형디자인(1)

Moulding and DesignⅠ

조소의 본질을 파악하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Understand the nature of ridicule and creative ability to produce creative work that nourishes.

SCU6011 조형디자인(2)

Moulding and Design Ⅱ

조소의 본질을 파악하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Understand the nature of ridicule and creative ability to produce creative work that nourishes.

SCU6012 환경디자인(1)

Environmental Design Ⅰ

인간과 환경에 대한 조형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삶의 공간에서 인위적인 유기체를 디자인으로 조화로운 생활공간을 구성하는데 있다.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formative approaches to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and produce harmonious living spaces by designing artificial organizations in a living environment.

SCU6013 환경디자인(2)

Environmental Design Ⅱ

인간과 환경에 대한 조형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삶의 공간에서 인위적인 유기체를 디자인하여 조화로운 생활공간을 구성하는 과정을 더욱 밀도 있고 깊이 있는 연구의 심화과정이다.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deeply formative approaches to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and intensively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harmonious living spaces by the designs of artificial organizations in a living environment

SCU6014 환경조형특론(1)

Theory of Environmental Moulding Ⅰ

환경과 미디어의 결합으로 조형예술의 특성이 환경 디자인에서 분리된 후 공공디자인 등의 조형방법에 대한 연구를 한다. 환경디자인, 미디어 쇼케이스 등 조형예술을 연구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conduct research on formative approaches such as environment-combined media malls and public designs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rt are separated from environmental design. Environmental design arts in the formative nature of the environment, a combination of separate media showcase, public design, and research on the morphological approach

SCU6017 문화와디자인

Culture & Design

디자인 관련 이론 및 사례를 사회, 기술, 문화 등 시대 환경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이와함께 산업화 이전에 추구하던 전통적인 개념과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폭 넓은 디자인의 개념 및 전개방향을 정립하도록 한다.

Students examine design-related theories and cases in the environmental and diachronic context of societies, technologies, and cultures; investigate traditional concepts and techniques that were used before industrialization; and establish concepts and directions of extensive design.